소식 NEWS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우리의 노력.

  • NEWS
  • STORY

수입육 어디까지 알고있니~ 수입육 브랜드별 EST 번호에 따른 특징

  • DNBSOFT
  • 2021-04-20 16:54:23
  • 조회 : 17,720
지난번 수입육 도축장과 육가공장들의 번호가 다르고, 이에 따라 스펙이 달라지면서 약간의 차이점들이 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오늘은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각 브랜드별 품목과 번호에 따라 어떤 특징을 나타 내는지 ~ 육가공 원료육 매입하시거나 출고하시면서 항상 많은 고민을 하시는데, 

이 부분에 도움이 되길 바라겠습니다. 

특히나 요즘 코로나로 인해서 수급의 문제도 있고, 시장의 변화도 많아서 어려워들 하시는데 해결할 수 없는 문제는 없으니, 다양한 정보공유를 통해 그런 부분에 일조했으면 좋겠네요!!




우선 첫번째로 수입우육에서 IBP는 가장 먼저 나와줘야 하죠~ 왜?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육류회사 Tyson Food의 대표 브랜드입니다.
국내에서는 많은 육가공 업체 뿐만 아니라 정육점에서도 선호하는 브랜드입니다. 

특히 LA갈비죠~ 수입소고기 품질 및 스펙의 기준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위의 ibp의 품목과 번호, 특징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수입우육의 대표주자답게 육가공장에서 선호하는 스펙입니다. 정육 소매 등에서 실제로 소비자들에게 반응이 

가장 좋아요. 특히 LA갈비는 거의 따라잡을 수 없지 않을까 싶어요. 이건 저의 개인적인 생각이니 참고만 하시고, 우리나라 소비자들에게 클레임이 적은 브랜드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물론 그만큼 단가가 높으니 이 부분도 참고해야 싶습니다.


두번째 스위프트 입니다. 세계1위 육가공회사 JBS가 2007년 Swift & Company를 인수하면서 JBS의 브랜드로 편입됩니다. 사실 Swift & Company는 1855년 설립된 아

주 오래된 브랜드이고, 여러 우여곡절이 많은 회사인데요. 모든 수입육이 그렇지만 넘버 잘 확인하셔야 합니다.


수입육 유통업체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고 하지만 

물론 케바케겠죠? 정육소매쪽에서는 EST번호에 따라 품질차이가 많이 난다는 의견도 있어요. 특히, 969 / 969G요. 물론 여기에는 스펙차이 뿐만 아니라, 정형작업, 

정육작업, 용도 및 각각의 기술에 따른 부분도 논해야 겠지만 밑에 부분 한번 더 체크해보시는 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세번째 쇼케이스입니다. 이 브랜드도 JBS에 속합니다. 562M은 미시건주 플에인웰, 562는 위스콘신주 그린베이고 267은 2019년 11월 19일 이후 잠정 수입 중단 작업장이니 이것도 참고하세요




 
쇼케이스는 알목심에서 굉장히 선호도가 높습니다. 냉장 목심 뿐만 아니라 냉동 알목심도 정육 컷팅에 따라서 활용도와 판매 상품이 다양하게 나올 수 있고, 육색이 좋아서

진열시에도 좋고요. 여기에 추가로 단가도 높은편이 아니라서 많이 선호하는것 같습니다. 



네번째 대망의 엑셀입니다. 세계적인 농산물 기업 카길의 브랜드입니다. 엑셀의 품질은 모기업인 카길의 사료와 농산가공에 영향도 있는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엑셀에 대해 편차가 심하고, 수율이 떨어지는 의견이 많았었는데요. 요즘에는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에서 엑셀 소고기 행사를 많이 하듯이 소비자들한테도 인식이 높은것 같아요. 물론, 코스트코도 영향이 있구요. 요새는 엑셀이 단가나 부위, 물량 조절을 봤을때 예전보다 많이 선호도가 높아진것 같습니다. 





86M은 네브라스카, 86R 콜로라도, 86K 캔자스, 86E, 86H는 텍사스 입니다.
빽립은 단가가 저렴해서 도매나 정육 소매 탕/국/용에 많이 활용하시고, 척갈비나 LA갈비는 로스에서 많이 선호도가 높습니다.


물론, 위의 EST NO만으로 단정지을 수 있는 사항이 아니죠. 수입육에는 등급도 있고, 공산품이 아니다 보니 수율이나 스펙이 각 상품별로 진짜 천지차이인데요.
이런 부분들을 우리가 얼마나 데이터화 하고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우리회사 내부에서 원료육 매입 및 원료육 매입단가에 대한 기준들을 잘 관리하고 있는지, 원료육 대비 생산수율과 생산수율에 따른 가공장 라인별 기준들, 결과 데이터들을 모두 관리하고 있어야

위의 공유한 정보처럼 같이 비교, 분석할 수 있어야 하는거죠. 특히나, 요즘 같은 환경에서는 원료육에 대한 수급 및 물량 조절 등 여러가지 변수도 잦은 사항이니

이제는 우리회사의 데이터를 전산화하는것.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0)

Board of Articles
한우 오마카세 베스트 식당을 통해 알아보는 한우 트랜드 부위   관리자 4,962 2022-03-30
축산물 이력제란?   관리자 5,444 2022-03-14
수입축산물 이력번호 게시/표시 대상 확대 안내   관리자 9,208 2021-09-01
마진과 상품의 표준화를 높이는 고급 원료육, 부분육, 축산물 수율관리- 원료육 가치 극대화의 비결   관리자 7,381 2021-08-03
국내산 소고기, 한우와 육우   관리자 10,210 2021-05-20
수입육 어디까지 알고있니~ 수입육 브랜드별 EST 번호에 따른 특징   관리자 17,721 2021-04-20
한우 지육 및 부분육 생산수율을 알아보자! 수율을 알아야 수익을 개선할 수 있어요!   관리자 17,774 2021-03-24
★일두백미 - 100가지 맛이 나는 한우! 부위별 특징 및 요리용도   관리자 8,214 2021-03-04
식육판매업소(정육점) 위생관리 매뉴얼 및 양식 다운로드(거래내역서 엑셀다운)    관리자 11,330 2021-02-09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물 이력 빅데이터로 본 한우시장 트렌드 분석 리포트    관리자 7,658 2021-02-01
축산물 쇠고기 선별법! 정육을 보고 양질의 고기를 식별할 수 있는 안목!   관리자 7,594 2021-01-14
수입육에 대해 알아보기! 미국산, 호주산, 일본산 소고기 등급, 수입육 입고잡기   관리자 20,580 2020-12-03
HACCP 이렇게 준비하면 O.K !! HACCP 다음은 ? 스마트해썹! SMART HACCP!   관리자 6,539 2020-11-03
[수입육] 수입우육 브랜드 및 차이점, 특징   관리자 14,230 2020-10-26
[축산물위생관리법 개정]축산물 가공업, 식용란선별포장업 사업장 Haccp 필수 적용   관리자 6,618 2020-10-21
LIO의 도입, 이력제 신고 자동화의 시작   관리자 5,894 2020-10-16
수입쇠고기 유통단계 안내 및 수입축산물 이력관리 업무 안내[미트와치]   관리자 10,903 2020-10-12
LIO가 AI를 만나, 새로운 축산세계를 열어갑니다.    관리자 6,186 2020-09-21
[축산정보경영시스템Lio System] 게시판 리스트 현황   관리자 6,371 2020-07-24
[축산정보경영시스템Lio System] 게시판 설정 관리   관리자 5,763 2020-07-24
scroll up
scroll up